서울시교육청, "북한 핵무기 개발과 주한미군철수 요구 정당화 및 북한 3대 세습 미화하는 도서 적극 지원"

  • 등록 2021.04.29 09:45:16
크게보기

서울시 소재 초,중,고 학교가 "북한 스파이를 교육하는 양성소냐?"는 지적도 있어...

서울시교육청(조희연교육감), "초·중·고교 평화·통일교육초·중·고교 평화·통일교육을 통해 서울시 학생들을 북한 스파이로 양성?

 

국회 정경희 국민의힘 의원실과 조선일보가 서울시교육청의 「교실로 온 평화통일 꾸러미」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서울시교육청이 다음 달 통일교육주간(5월 넷째 주)에 지원하겠다고 제시한 초·중·고교 평화·통일교육 도서 목록에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주한 미군 철수 요구를 정당화하고 3대 세습을 미화한 내용을 담은 책이 다수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북한 사람들은 자유와 민주주의를 구가하며 살고 있었다.” “북측 인민들은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이어 반제(反帝)·자주의 가치를 계승할 지도자를 찾았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가장 적격이라고 판단한 것”이라는 등 대한민국 보다 북한이 더 민주적인 국가라고 미화했다.

 

이 꾸러미는 서울시교육청이 제시한 추천 도서 36권과 교구 22가지 목록으로, 학교가 원하는 종류와 수량을 고르면 100만원 한도에서 교육청이 전액 구입해 보내준다. 서울시교육청은 희망학교 신청을 받아 44개 학교를 선정했고, 해당 학교는 지원받은 책과 교구로 다음 달부터 7월 중순 사이에 교과 수업,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에 평화·통일교육을 할 예정이라고 했다.

 

노무현 정부 때 청와대 비서관을 지낸 저자가 쓴 ‘우리, 함께 살 수 있을까?’는 “북측이 개발한 핵무기는 애초에 공격용이 될 수가 없다”며 “북측은 약속한 선언과 합의에 근거해 비핵화 절차를 실제로 진행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주한미군이 철수해도 군사적 충돌 상황은 발생하지 않는다”며 “주한미군이 철수할 경우, 방위비 분담금에 책정된 예산을 정말 필요한 곳에 쓸 수 있을 것”이라고도 하면서 한미동맹을 비하하는 글로 채워져 있었다.

 

서울시교육청이 평화통일 교구(敎具)로 지원하겠다고 제시한 카드놀이. 도망가던 이승만 정부가 한강 다리를 폭파시켜 수많은 군인과 시민들을 희생시켰고 부산까지 피난 갔다고 설명하고 있다.

 

「우리는 통일세대」라는 책은 “옥류아동병원(북한)은 아이들 심장병 수술을 3000건 이상 모두 무상으로 했다”고 하면서, 반면에 대한민국은 “중환자가 생기면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는 우리나라의 현실과 비교된다”고 쓰면서 선진국들로 부러워하는 세계 최고수준의 의료보험시스템을 가진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를 비하하는 내용으로 가득찼다.

또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선택은 인민들이 지도자를 잃은 슬픔을 용기로 전환시키며, 김일성 주석의 뜻을 계승하는 데 매진하는 일이었다” “북녘 사람들은 세포 등판(대규모 목축단지)의 건설로 질 좋은 고기를 마음껏 먹을 수 있게 되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신화와 자부심을 만들어냈다” 등 팩트와 동떨어진 대한민국 적 국인 북한을 칭송하는 이적 표현으로 쓰여져 있다.

 

‘군대가 없으면 나라가 망할까’ ‘평화는 처음이라’ 등 병역 거부자들이 쓴 책 2권도 지원 도서 목록에 포함돼 있다. 역사 교수 출신인 정경희 국민의힘 의원은 “좌편향 역사관과 북한의 가짜 평화를 학생들에게 심어줄 책과 교구를 국민 세금으로 구입해 교육에 쓴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했다.

 

서울시교육청은 “다양한 책과 교구로 평화·통일교육을 지원한다는 취지로 학교에 선택권을 준 것인데 일부 도서에 대한 내용 검증은 부족했다”며 “병역 거부자 책 등을 지원 도서 목록에서 빼겠다”고 밝혔다.

 

교육전문가인 김정욱대표(기회평등학부모연대)는 "서울교육청의 지원도서 선정은 서울시 전체 초·중·고 학생들을 북한 스파이로 양성시키는 매우 악질적인 정책이며, ‘내용검증이 부족했다’라고 해명한 것은 직무유기 범죄에 해당되며, 또한 업무상 배임죄에 해당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대표는 “서울시 교육청이 노골적으로 초·중·고 학생을 북한 스파이로 만드는 것 처럼 보인다. 이제부터라도 서울시 모든 학부모들이 자녀가 학교에서 교육청 교과 내용과 특정 교사로부터 무엇을 배우는 지를 철저히 감시하는 체제로 돌아가야 된다”고 말하면서, “학부모들이  자식의 미래를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학교운영에 개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경희의원 #서울시교육청 #김정욱대표 #기회평등학부모연대 #

김호월 기자 gimhowol@google.com
Copyright 교육앤시민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교육앤시민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57길 4, 9-401 (서초동, 강남부속상가 4층) 발행인 김진성 | 편집인 김호월 | 전화번호 070-4323-1467 | 팩스 02-588-7982 | e-mail vibecritique@gmail.com Copyright 교육앤시민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