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통계에 의하면, 2018년 대한민국에서 해외로 이주한 해외이민자는 879명으로 전년대비 6.5%로 증가, 2017년에는 2016년 대비 8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해외 이민자는 총 6,316명이며, 2009년 1,153명에서 2015년까지 계속 감소하다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나타났다.(해외공관 신고 집계제외) 2017년 해외이민자의 분포를 보면, ▲연고이주가 467명(56.5%), ▲무연고이주 365명(43.5%)로 연고 이주 비율이 13% 더 많았으며, 2018년에는 ▲연고이주가 619명(70.4%) ▲무연고이주가 260명(29.6%)로 연고이주비율이 2017년 대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연고이주자중 이민 사유를보면, ▲취업이 251명(68.8%), ▲독립이민이 58명(15.9%) ▲사업상이 26명(7.1%) ▲기타 21(5.8%)명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나, 2018년에는 ▲취업이 173명(66.5%), ▲독립이민이 66명(25.3%), ▲사업이 21명(8.1%), 기타가 0명으로 주로 국내경기 불황이 따른 경제적 이유로 해외이민을 간 것으로 분석된다. #대한민국탈출 #해외이민 #외
대교협에서 발간하는 2020년도 대학입시 전형 안내를 공지하오니 힉부모나 학생들은 아래 첨부문서 등록에 저정되어 있는 안내서를 받아 보시면 됩니다.
저스티스 리그(공동의장 박선영 동국대 교수)는 지난 10월 11일 서울교총회관에서 첫 번째 “공정 세상을 위한 청진기 투어”라는 제목으로 첫 번째 토론회를 가졌다. 이 토론회는 주최자인 저스티스리그 관계자는 이 자리는 (대학입시)교육문제를 학부모 시각으로 보면서 현재 잘못된 교육시스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학부모의 의견을 경청하는 자리”라 하면서, “앞으로 모든 토론회는 참석한 학부모의 다양한 의견에 대해 듣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하겠다”고 했다. 학부모, "수시보다는 정시 원해... 수시는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학생들을차별하는대학입시 제도" 이 날 참석한 고2 학부모인 윤세라 씨에 따르면, “현재 수시는 교과 내신보다 비교과 내신 등 교사가 가르치지 않는 것을 평가하는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은 모순이며, 학생들의 평가가 교사의 자의적 판단으로 평가되어 있는 학교 현장은 학부모가 교사의 노예로 전락할 수 있는 제도에 불과하다”고 하면서 대학입시에서 학종 폐지와 100% 수능으로 대학에 갈 수 있도록 교육제도가 변경되었으며 좋겠다고 말했다. 박혜정 씨(고2 학부모)는 “돈과 권력으로 얼룩진 수시와 학종은 올바른 대학입시 제도가 아니라고
US News& Report가 발표한 2019년 세계 Best 국가 순위에서 우리나라는 세계 22위로 나타났다. 세계 Best 국가 순위는 US News& Report와 BAV그룹(브랜드 자산 평가회 사) 그리고 와튼 스쿨(펜실베이니아 대학) 이 공동연구해서 조사한 연구결과다. 이에 대한 상세한 자료는 아래 첨부문서등록에 저장되어 있다.
<글로벌 30위 Best 국가 종합 순위> 순위 국가 인구 (백만) 1인당 GDP($) 순위 국가 인구 (백만) 1인당 GDP($) 순위 국가 인구 (백만) 1인당 GDP($) 1 스위스 8.5 62,125 11 네덜란드 17.1 53,933 21 아일랜드 4.8 73,215 2 일본 126.8 42,942 12 뉴질랜드 4.8 39,012 22 대한민국 51.5 39,548 3 캐나다
세계 문화인류학의 석학 가트 홉스테드 연구소에서 발표한 전세계 패미니즘 지수를 수록하니 참고바랍니다. 패미니즘 지수(점수)는 점수가 낮을 수록 패미니즘 지향 사회를 말합니다.
패미니즘 세계 20위 국가 순위 국가 점수 순위 국가 점수 1 스웨덴(유럽) 5 11 에스토니아(유럽) 30 2 노르웨이(유럽) 8 12 포르투갈(유럽) 31 3 라트비아(유럽) 9 13 태국(아시아) 34 4 네덜란드(유럽) 14 14 러시아(유라시아) 36 5 덴마크(유럽) 16 15 과테말라(중남미) 37 6 리투아니아(유럽) 19 15
2019년 QS BEST GLOBAL 대학 순위를 『인문학』, 『사회과학』, 스포츠 예술 전공별로 분석할 때, 교육부가 적극 투자하고 직접 관리·감독하는 국립대보다 사립대가 더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QS BEST 글로벌 1000위 대학을 선정 방법은... ① 학문적 명성으로 전세계 83,000명 교수를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 ② 대학졸업 후 취업한 전세계 각 대학 졸업생 42,000명의 평가 결과(실무 현장에서 느끼는 졸업생들이 각 대학을 상대 평가 함), ③ 각 대학 교수들이 글로벌 학술지(SCI 및 SSCI 급)에 발표한 논문의 인용 횟수, ④ ‘H-Index’로 각 대학 교수(과학자 및 학자)들이 실무적으로 실행한 연구결과에 대한 생산성과 영향력 평가 등 4가지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각 대학의 순위를 발표한다. 결론적으로 QS BEST 글로벌 1,000개 명문대학 선정 방식은 '대학교수들이 얼마나 열심히 연구(논문게재 포함)'를 하고, 학생들에게 '교수들이 실무적으로 유용한 강의 컨텐츠를 가지고 강의하는 가'가 중요한 선정기준이 된다. 글로벌 명문대학 순위를 인문학, 사회과학 및 스포츠 예술 등 전공별로 세 분류하여 국내 대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