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인공지능(AI)을 필두로 한 글로벌 기술 대전환에 대응하고 대한민국 미래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고자 올해 ‘서울형 R&D 지원’에 역대 최대 규모 예산을 투입, 혁신 기술 발굴부터 개발․실증․시장진출까지 전 과정 전폭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여기에 전년(367억 원) 대비 약 12% 늘어난 41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지난 2005년부터 시작한 ‘서울형 R&D 지원사업’은 미래 선도산업 선점 및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에 이바지하는 R&D 분야 서울시 대표 정책이다.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18년부터는 AIㆍ바이오ㆍ양자기술ㆍ로봇ㆍ핀테크ㆍ창조산업 등 6대 신성장산업 기술개발과 기업 성장 및 기술 실증 R&D 기술사업화를 중점 지원해왔다. 시는 올해 저비용ㆍ고성능 AI 모델 등장을 계기로 초기 기술개발(Pre-R&D)~기업성장 R&D~테스트베드(Post-R&D)까지, R&D 전 분야에 AI 투자를 확대해 ‘AI 3대 강국 도약’의 초석을 놓는 원년으로 삼는다는 각오다. 특히 초기 기술개발 과제를 ▴인공지능(AI) 및 AI 융합기술(AI+X) 과제로 집중 선정 ▴AI R&D 예산
KDI(한국개발연구원)는 20일 경제전망에서 '최근 우리나라 경제는 코로나19로 인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경기가 빠르게 위축되고, 글로벌 경기침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인 성장세 둔화에 대한 우려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는 비관적인 전망을 발표하였다. 이 보고서에서 '대면접촉이 많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생산이 감소하면서 1/4 분기 경제성장률은 전년동기대비 1.3%(전기대비 1.4%)로 하락하고 , 미국, 유럽 등 주요국에서 코로나19가 3월 이후에 급속하게 확산으로 수출이 부진해지며 제조업 부문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파급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한국경제는 여타 국가에 비해 제조업 비중이 높으며, 수출 측면에서도 글로벌 소비보다 글로벌 투자에 더 많이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하면서, 현재 기업의 대차대조표가 악화되고 투자수익률이 하락함에 따라 글로벌 투자가 급격하게 위축되며 제조업에도 부정적 영향이 파급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현재 대면접촉이 많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코로나19가 장기화될 경우 제조업에도 고용 충격이 예상된다고 하면서, 이로 인해 일시휴직자를 제외한 취업자 수는 1월 전년동월대비 60만명
인구 (천명) 명목GDP (억$) 국제수지 (억$) 상품수출 (억$) 상품수입 (억$) 서비스 수출(억$) 서비스 수입(억$) 대한민국 51,635 1조6,194 764 6,235 5,136 991 1,288 일본 126,529 4조9,709 1747 7,357 7.245 1,937 2,009 경제격차 -74,894 -3조3515 -983 -1,122 -2,109 -946 -721 (자료: 한국은행) 2018년 기준으로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추계인구는 일본이 1억2,653만 명으로 우리
◇ 삼성바이오 사태이후, 국내 바이오 기업 탈 대한민국 러쉬 지난 4일 MIT, 하버드 등 미국 아이비리그 대학이 몰려 있는 미국 매사추세츠주(州) 보스턴에서 LG화학의 '글로벌 이노베이션 센터' 개소식이 열렸다. LG화학은 이곳에서 미국 현지 바이오 인프라를 활용한 혁신 기술 도입과 신약 개발을 담당하게 되며, 올해 말까지 미국 현지에서 임상 개발 분야 등 전문가 15명도 채용할 계획이다. 유한양행도 2018년 3월 미국 샌디에이고에 '유한 USA'를 설립하고 연구·개발(R&D) 정보 수집 및 신약개발을 위한 R&D 센타 역할을 하게 된다. 이어 12월엔 LG화의 글로벌 센타가 설립한 보스턴에도 현지법인을 설립한 바 있으며, 필요 인력도 현지에서 채용한다. GC녹십자는 지난해 5월 시애틀에 백신 연구를 위한 '큐레보'를 설립하고 백신개발 경험이 풍부한 미국 현지 연구기관인 이드리(IDRI)와의 협업하고 있다. 녹십자홀딩스도 지난 3월에는 미국 샌디에이고에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라는 법인을 세워 세포 치료제 개발을 주목적으로 인체 내 면역세포를 활용한 항암 세포 치료제 연구·개발과 상용화에 집중할 예정이다. 바이오 기업으로 유명한 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