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에 『혁명학교』가 있다면, 대한민국엔 『혁신학교』가 있다."
2018년 기준 대한민국 중등학교 교육체계는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이며, ▲유치원은 6세 미만으로 나타났다. 고등교육기관인 대학교육은 ▲전문대학이 2~3년, ▲단과대학 및 종합대학은 4~6년(건축학과, 의학과 등)이며, ▲대학원 석사과정은 2년, ▲박사과정은 2~3년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북한은 ▲소학교(초등학교)는 5년, ▲초급중학교(중학교) 3년, ▲고급중학교(고등학교) 3년이며, ▲유치원은 1년으로 만 5세로 나타났다. 고등교육기관인 ▲고등전문학교(전문대학)이 2~3년, ▲단과대학 및 종합대학은 3~6년, ▲연구원(석사과정)은 3~3.5년, ▲박사원(박사과정) 2~3년으로 나타났다.
중등학교 교육체계로 특목고는 대한민국이 예술고, 체육고, 외고는 각 3년으로 일반고와 동일하고 , 북한은 예술학원과 외국어학원(대한민국 중학교와 고교 통합)은 각 11년이다.
북한은 정치학교인 『혁명학교』는 9년(초등학교~고등학교)이며, 우리나라 『혁신학교』(초,중,고 합산 12년)보다 3년이 적지만, 교육시스템의 연속성인 측면으로 볼 때, 북한 혁명 주체세력의 리더로 키우는 것으로 보고 있다.

2019년 기준 대한민국 ▲초등학교 학생 수는 2,711천명, ▲중학교 1,334천명, ▲고등학교 1,539명, ▲대학교 3,027천명이었으며, 북한은 ▲초등학교(소학교) 1,613천명, ▲중학교(초급중학교) 1,014천명, ▲고등학교(고급중학교) 1,056천명, ▲대학교(단과대학 종합대학 포함) 519천명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중등학교(초,중,고) 학생수는 대한민국과 북한이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으나, 대학교 진학의 경우 고등학교 대비 대학생 수(대학생 수/고등학생 수)는 대한민국은 1.97, 북한은 0.49로 대한민국 고교생의 대학 진학율이 북한 고등학생 대학 진학율보다 약 4.02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 대한민국 초등학교는 6,064개교, 중학교 3,214개교, 고등학교 2,358개교, 대학교 1,536개교이며, 북한은 초등학교(소학교) 4,800개교, 중학교(초급중학교) 2,300개교, 고등학교(고급중학교) 2,300개교, 대학교는 490개교이며, 혁명학교(초중고) 3개교였다.
각 교당 학생수는 대한민국 ▲초등학교는 1개교 당 447명, 북한은 336명, ▲중학교는 대한민국이 415명 북한이 441명, ▲고등학교는 대한민국이 652명, 북한은 459명 ▲대학교는 1,970명 북한은 1,059명이었다. 북한의 혁명학교는 약 667명이었다. 전체적으로 대한민국 학교가 북한의 학교보다 학생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학교 #혁명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