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3 (토)

  • 맑음동두천 16.7℃
  • 맑음강릉 18.3℃
  • 맑음서울 17.7℃
  • 박무대전 17.8℃
  • 구름많음대구 17.6℃
  • 맑음울산 18.6℃
  • 박무광주 17.1℃
  • 맑음부산 19.4℃
  • 맑음고창 16.5℃
  • 구름조금제주 18.1℃
  • 맑음강화 18.8℃
  • 맑음보은 15.7℃
  • 맑음금산 14.9℃
  • 맑음강진군 18.5℃
  • 맑음경주시 16.8℃
  • 맑음거제 18.6℃
기상청 제공

바른사회시민회의 논평, "사교육비 경감과 학교교육 개혁에 교육감들이 책임져야"

지난해 초·중·고 사교육비 규모가 26조원으로 2007년 통계청 조사 이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한다. 저출산 기조 속에 지난해 학생수는 528만명으로 전년보다 4만명(0.9%) 줄었다. 그러나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은 전년보다 무려 10.8%가 늘어난 것이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역시 전년도에 비해 11.8% 올라 41만원이고 사교육 참여율도 전년보다 2.8% 포인트 상승한 78.3%로 역시 최고치를 보였다. 그렇지 않아도 경제상황이 어려워 학부모들의 가계는 날로 힘들어지는데 사교육비는 갈수록 늘어나니 원성이 클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 공교육비는 매년 상당한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다. 2023년 유아 및 초・중등 부문은 2022년 예산 70조 7,301억원 대비 10조 1,819억원 증액하여 80조 9,120억원이 편성되었다. 그 중 2023년 지방교육재정교부금 규모는 2022년 대비 10조 7,011억원 증액된 75조 7,606억원이다. 간단히 계산하면 학생 1인당 1,435만원에 달하는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데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걸까? 도대체 초·중·고 학교에서는 무엇을 하고 있다는 말인가? 전국의 시·도교육감들은 이에 대한 대책을 왜 내놓지 않는 걸까? 선거철만 되면 공교육을 정상화하고 책무성을 높여 학부모들의 사교육비를 줄이고 학생들의 적성과 수요에 맞는 교육을 하겠다고 내세우지만 막상 당선되서는 달라지는 게 없다.

사교육비 증가의 1차적인 책임은 중앙정부보다는 시·도교육청에 있음이 분명하다. 초·중·고 교육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교육감들이 대책을 내놓고 학교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공교육의 책무성을 높여야 한다. 그러나 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이런 문제를 다루었다는 보도를 들은 적이 없다. 중앙정부와 권한 다툼이나 예산과 교직원 확보 등 기득권과 이해관계만 앞서지 정작 공교육을 책임지는 본인들의 책무에 대해서 말하는 교육감이 없다.

정작 윤석열 정부가 국정의 3대개혁의 하나로 교육개혁을 내세우니 그나마 다행이다. 교육개혁을 국정지표로 내세운 정부는 김영삼 정부이래 처음이라 더 기대가 크다. 학교가 제 역할을 해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사교육의 주원인인 대입제도를 개혁하여 학부모들의 사교육비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개혁이 이뤄지기 비란다. 미래 대한민국의 주인공들인 우리 학생들이 인공지능(AI)과 초연결사회에 알맞은 역량을 지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의 대변혁을 기대한다.

 

 

2023. 3. 9.
바른사회시민회의


참교육

더보기

참 아카데미

더보기
이제는 "지난 정부의 획일적 평등정책을 바로잡아야 한다"
지난 5월 17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정경희의원 주체, 바른사회시민회의, (사)바른아카데미, 미래교육자유포럼 주관, 자유기업원 후원으로 교육개혁 방향에 대한 세미나가 개최했다. 이날 김경회석좌교수(명지대)는 "바람직한 교육개혁의 방향과 과제” 발제에서 교육개혁의 지향점으로, 다섯가지 원칙을 제시하며, 첫째, 학력과 인성을 키우는 교육 본질의 회복. 둘째, 교육에서 자유도 높이기. 셋째, 공정한 경쟁을 톻한 실력주의 확립. 넷째, 교육의 다양성, 다섯 번째, 수월성 교육을 통한 세계 일류 인재 양성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정부의 획일적 평등주의 정책부터 바로 잡아야 한다고 지적하며, 첫째, 시험・숙제・훈육 없는 3무 혁신교육 폐지와 학력중시 정책으로의 전환. 둘째, 초중등교육법시행령 개정하여 자사고 외고 존치와 자율 확대. 셋째, 문재인 정부의‘사학 공영화’정책 철회와 사학의 자주성 보장으로 전환. 넷째, 올바른 역사교육, 다섯째, 유명무실해진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대로 실시할 것을 강조했다. 학교선택제・대입자율화・교직사회 혁신을 3대 핵심 제도개혁과제로 삼고 낡은 교육제도를 선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고교평

PHOTO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