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사회시민회의 시국 논평】 이재명 대표와 더불어민주당은 사법부 흔들기 멈추고 겸허한 자세로 법치 질서에 순응하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 1심 재판부가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형을 선고하였다. 선거사범 1심 재판은 공소 후 6개월 이내에 마쳐야 하는 공직선거법 규정에도 불구하고 2년 2개월이나 지나 나온 선고다. 그만큼 치열한 법리적 판단 끝에 나온 결론으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재명 대표와 제1야당은 노골적으로 재판 불복을 외치며 사법부 겁박을 자행하고 있다. 이 대표는 집회 단상에 올라 “결코 죽지 않는다”고 부르짖으며 마치 이번 판결도 정치 탄압인 양 오염시켰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 역시 정적 말살 시도에 화답한 정치 판결로 못 박았다. 사법부의 독립성과 중립성을 흔들고 국민의 사법 불신을 조장하는, 매우 부당한 ‘헌정 흔들기’의 전형이다. 이미 앞서 헌정 사상 최초 법관 탄핵소추를 무리하게 밀어붙이고, 정치적으로 불리한 판결을 하는 법관도 탄핵으로 보복하겠다고 엄포를 놨던 민주당이다. 자신들 기대와 달리 무거운 형이 선고되자, 사법부에 정면 도전하겠다는 무책임하고 위험한 정치공세를 펴고 있다. 야당 편을
18일 서울시의회 제327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김혜지 시의원(국민의힘, 강동1)의 질의에 답변하면서 정근식 교육감은 "정치 편향적인 교육이 없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김혜지 시의원은 강동구 소재 혁신학교인 선사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졸업생과 재학생들의 인터뷰 화면을 공개하면서 혁신학교의 문제점에 대한 맹공을 퍼부었다. 대학진학이 주 목표인 일반계 고등학교임에도 혁신학교 지정을 하여 공부하기 싫어하는 학생들의 만족도만 가지고 학교를 평가해 온 점을 지적하며 포문을 열었다. 김 의원은 마을학교의 이름으로 특정 저자 개인의 주관적인 정치적 관점이 그대로 학생들에게 노출되고 있는 교과자료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해서, 정근식 교육감으로부터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겠다는 답변을 받아내기도 하였다. 정근식 교육감은 취임 후 시정질문 첫 답변에 나선 상황이어서 이날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김혜지 의원의 여러가지 지적에 대해 머뭇거림 없이 답변에 임함으로써 비교적 학교 현장에 대해 잘 파악하고 시정질문에 임했다는 인상을 주었다. 정 교육감은 정치성향에 대한 김혜지 의원의 날카로운 질문에 당황하지 않고 온건한 입장으로 답변에 임함으로써 진보 사회학자로서의 정
하윤수 부산광역시교육감이 15일 오후 3시 동서대학교 소향아트홀에서 열린 ‘특수교육 국제세미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하윤수 교육감은 인사말을 통해 “오늘 세미나는 특수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잇는 자리로, 특수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특수교육의 발전을 위한 소통·정보 공유의 장이 될 것이다”며 “오늘의 귀한 말씀들이 부산 특수교육의 발전 전략 수립과 재구조화 추진에 큰 힘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는 쇼지 카츠도 시이노미학원 이사장(일본), 김기흥 부산교대 유아교육과 교수, 박재국 부산대 특수교육과 교수의 강연이 이어졌다.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감 신경호)은 11월 11일(월) 전년대비 2,179억 원 증액하여 4조 1,888억 원이 편성된 2025년도 예산안을 도의회에 제출했다. 최근 세수 여건 악화로 도교육청의 보통교부금은 2024년에 이어 여전히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도교육청은 핵심사업 중심으로 정책을 재구조화하고 부족한 재원은 기금으로 충당해 정책 추진의 연속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기금은 근래와 같은 재원 부족 상황을 대비해 적립해 둔 통합재정안정화기금 4,214억 원 및 교육시설환경개선기금 1,654억 원을 활용할 계획이다. 임재욱 예산과장은 “2025년도 예산안은 현재의 재정적 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학교 교육 지원을 위해 최선을 다해 편성된 예산”이라며, “학생들이 꿈과 희망을 품고 더 성장할 수 있도록 향후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교육재정 유지와 운용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2025년도 본예산안은 제333회 강원특별자치도의회(정례회)의 교육위원회 예비심사 및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심사 후 본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별 학교 규모를 최적화하는 ‘경기형 적정규모학교 최적화 모형(5C)’을 다섯 가지로 발표했다. 다섯 가지 모형(5C)은 ▲거점형(Center) ▲개편형(Create) ▲통합형(Combine) ▲복합형(Complex) ▲확장형(Connect)의 학교 유형을 의미한다. 도교육청은 이번 모형에 따른 적정규모학교 육성을 강화해 학생 수 감소로 인한 교육 격차 해소와 소규모 학교의 교육환경 개선에 힘쓸 계획이다. 아울러 도교육청은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 다양한 프로그램 선택지 부족, 학생 사회성 발달 등 원도심 지역과 농산어촌을 중심으로 증가하는 소규모 학교 문제 해결에도 나선다. 우선 지역 내 또는 인접 지역 간 소규모 학교를 통합하고 ▲거점학교 ▲공동학군 ▲기숙사학교 ▲복합시설 유입 ▲특목고·대안학교·온라인학교 설립 등 지역 수요를 반영해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도교육청은 지난 9월 적정규모학교 육성 의결기준을 ‘과반수 학부모의 응답’과 ‘응답 학부모의 과반수 동의’로 정하고, 10월에는 1기 신도시에 위치한 청솔중학교(성남)를 적정규모학교 육성 지원교로 선정한 바 있다. 이번 정책 추진으로
서울 38개 사립초등학교 2025학년도 신입생 모집이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 통합 전산 사이트에서 동시에 이루어진다. 원서 접수는 13일 수요일까지 진학어플라이* 사이트를 통해 마감되었으며, 신입생 입학 추첨은 각 학교별로 하되 18일 월요일 오전 10시에 동시에 이루어진다. 자세한 추첨 방법은 당해 학교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당초 서울 사립초등학교 입학 전형은 당해 학교 별로 이루어지고 지원 가능한 학교 수에 제한이 없었다. 그러나 서울특별시교육청은 2024학년도부터 신입생 1명당 최대 3개 학교까지만 지원하게 하여 사립초등학교의 경쟁 과열을 방지한 바 있다. 서울시 내 사립초등학교는 각 학교마다 신입생 입학 설명회를 통해 신입생 모집을 적극 홍보하고, 중복 지원을 방지하기 위해 서울시교육청이 전국 최초로 개발한 통합 전산 사이트 이용을 안내하고 있다.
박재형 작 11월은 계절이 오가는 길목이다. 그냥 가기엔 서운하기에 떠나기 전에 만나야 한다. 머물 수 없는 기다림, 잊지는 않는다고, 떠나기 전에 전해야 한다. 텅빈 벌판에 일렁이는 바람, 묻어오는 향기는 꿈인 듯... 그대 모습, 지난 시간을 바라보는 두눈엔 이별 담긴 눈물만 흘러내린다. 기웃거리다 떠나버린 가을, 허무처럼 찾아오는 알길없는 외로움, 눈꽃에 묻여 내리면 먼저 내달리는 그리움, 머뭇거리다 지워지는 기억처럼 그렇게 가버린다. 11월! 세월의 깊이 만큼 토닥토닥 다듬어진 듯 구순해 보이고 편안함을 간직한 여인처럼...... 여유로움이 묻어있어 아름다워 보이는 시간이다. 그동안 정신없이 달려온 시간들, 어느날 문득 발견한 나! 중년의 낯선 모습에 새삼 허무해져 가슴은 무너져 내리고 어느새 검은 머리는 윤기없이 거칠어지고 초점은 흐릿하게 겹쳐오면서 살아온 세월이 허무해 진다. 그동안 발목 잡혀온 현실이 억울하기도 하고, 나를 찾고자 하염없이 방황하던 세월...... 현실을 잊고 싶어 무작정 떠나고 싶다. 되돌릴 수 없는 젊은 날의 아쉬움인가? 사춘기 소녀처럼 여려진 가슴은 눈망울에 가득 고이는 그렁그렁한 눈물, 지난 삶에 연연하며 자신감을 잃어 체
2025년 QS 글로벌 대학 10개 대학은 1위 MIT, 2위 왕립런던대, 3위 옥스포드대, 4위 하버드대, 5위 켐브릿지대, 6위 스탠포드대, 8위 국립싱가폴대, 9위 런던대(UCL), 10위 칼텍(캘리포니아공대)로 선정되었다. 국내 대학은 서울대(국립) 31위, KAIST(국립) 53위 연세대(사립) 56위, 고려대(사립) 67위, 포항공대(사립) 98위 등 5개 대학이 세계 100대 명문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 100위~ 500위권에는 성균관대(사립) 123위, 한양대(사립) 152위, 울산과기대(국립) 280위, 대구경북과기대(국립) 326위, 경희대(사립) 328위, 세종대(사립) 396위, 중앙대(사립) 489위 등이 선정되었다. 501~1000위 권에는 이화여대(사립) 511위, 경북대(국립) 516위, 부산대(국립) 524위, 서강대(사립) 576위, 아주대(사립)와 인하대(사립)가 631위~640위, 한국외대(사립) 651~660위, 전북대(국립) 680~690위, 동국대(사립) 701~730위, 건국대(사립) 721~730위, 카톨릭대(사립)와 울산대(사립) 801~850위, 전남대(국립)와 충남대(국립) 851~900위, 영남대(사립)가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