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10월 31일(목), ‘2024년 10월 대학 정보 공시 분석 결과’를 발표에서 2023년 대학 강의 공개 강좌 수는 2,162개로 2022년(1,850개)보다 16.9%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은 399개로 전년(398개)보다 0.3%, 사립대학은 1,763개로 전년(1,452개)보다 21.4% 증가했으며, 국공립대학의 공개강좌 수는 사립대학보다 낮게 나타났다. 수도권대학은 1,032개로 전년(817개)보다 26.3%, 비수도권대학은 1,130개로 전년(1,033개)보다 9.4% 증가했다. 공개강좌는 교수의 강의에 대한 자신감과 교육콘텐츠 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정부의 예산을 100% 지원받고 교육부의 추가 지원을 사립대학보다 훨씬 더 받고 있는 국공립대학이 사립대학보다 낮게 나타난 것은 국공립대학 교수들이 사립대학 교수보다 강의에 자신감이 없거나 또는 강의 내용에 대해 더 폐쇄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2023년 학생 1인당 도서관 자료 구입비는 143,505원으로 2022년(135,876원)보다 5.6%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은 186,086원으로 전년(176,737원)보다 5.3%, 사립대학은 129,892원으로 전년(122,814원
11월 7일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의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에서 직업계고 졸업자 63,005명 중 취업자는 16,588명, 진학자 30,216명, 입대자 1,716명, 제외인정자는 1,059명이며, 취업률은 55.3%, 진학률은 48.0%로 전년 대비 취업률은 0.4%p 감소, 진학률은 1.0%p 증가하였다. 학교 유형별 취업률은 마이스터고가 72.6%로 직업계고 중 가장 높았으며, 특성화고 52.3%, 일반고 직업반 43.9%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북(69.5%), 대구(65.3%), 대전(61.1%), 경남(59.5%), 세종(59.4%), 충남(58.2%), 강원(56.2%), 광주(55.9%) 8개 시도가 전체 취업률 평균(55.3%)보다 높았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1천 명 이상 23.5%, 300~1천 명 미만 11.0%, 30~300명 미만 34.5%, 5~30명 미만 26.1%, 5명 미만 4.8%로 30~300명 미만 기업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특히, 300명 이상 기업에 취업한 비중은 34.5%로 3년 연속 상승하고 있다. 건강보험 또는 고용보험 가입자(2023.4.1.기준 19,401명)의 1차 유지취
11월 4일(월) 15:30~18:00에 서울특별시의회 의원회관 제2대회의실(2층)에서 서울특별시의회 주최로 , “OECD 교육부문 디지털화 정책 전망에 비춘 서울교육의 디지털 전환 현황 및 과제”는 주제로 정책 토론회가 열린다. 이번 토론회는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종태 의원이 주관하며, 자유교육미래포럼, 서울사립학교장회 서울교육연구원, 기회평등학부모연대가 후원하고 초·중등교육계에 관심있는 학부모 및 일반시민이나 단체들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 이번 토론회는 1부, 2부로 나누어지며, 1부에서는 심임섭 (복잡성교육학회장)이 “OECD 교육부문 디지털화 정책 전망”, 류장경 (서울시특별시교육청 디지털혁신미래교육과장)이 “서울교육의 디지털 전환 현황 및 과제”로 주제발표를 하며, 2부에서는 이종태 의원(서울시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의 사회로 김태연 교사 (서울성남중학교), 최창숙 교감 (예일여자고등학교), 김진성 기자 (인터넷신문 교육앤시민), 박준언 명예교수 (숭실대학교 영문학) 등 4명이 토론을 하며, 참가자 모두 자유 토론에 참가할 수 있다. #서울시의회 #정근식교육감 #서울특별시교육청 #심임섭 #디지탈 #류장경 #이종태 #김태연 #최창숙 #김진성 #교
제23대 서울특별시교육감에 취임한 정근식 교육감은 취임 12일 만에 ‘미래를 여는 서울교육’ 실현이라는 공약을 지키기 위해 현장중심의 교육행정에 나섰다. 교육공동체와의 본격적인 소통을 공약한 정 교육감은 29일 서울창경초등학교를 시작으로 12월 말까지 다양한 교육 현장 방문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번 교육 현장 방문은 ‘교육감의 약속, 교육공동체와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시대 불안을 희망으로 바꾸는 서울교육 △학교 걱정을 안심으로 바꾸는 서울교육 △지금 바로, 행동하는 서울교육 등 교육감 공약과 관련된 주제로 진행된다. 그 첫 행보로 정근식 교육감은 10월 29일(화) 서울창경초등학교를 방문해 현장의 다양한 의견과 애로사항을 경청했다. 교장, 교감, 교사, 그리고 학생들과의 대화를 통해, ‘아이들에게 꿈을, 교사에게 긍지를, 학부모에게 신뢰를’이라는 자신의 약속 실천에 나섰다. 정 교육감은 점심시간에는 위생복을 착용한 뒤 교실 배식을 하였고, 이어 체육관에서 학생회가 주관한 노래·방송댄스 공연을 관람하며 학생들을 격려하였다.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서울교육 메타버스 플랫폼(이하 메타쌤)이 10월 24일(목) 글로벌 실시간 3D 개발 엔진 유니티테크놀로지가 주최하는 제16회 유니티 어워즈(Unity Awards)에서 소셜 임팩트 부문 입선작*(Runner-up)으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유니티 어워즈는 혁신적인 메타버스 프로젝트를 개발한 크리에이터들을 가리는 권위 있는 시상식으로 알려져 있다. 올해 소셜 임팩트 부문에 유니티 전문가들이 추천한 전세계 50여개의 우수 콘텐츠 중에서 서울시교육청의 메타쌤이 입선작(Runner-up)으로 선정됨으로써 초·중·고 교육기관(K-12) 활용 메타버스 플랫폼으로서는 세계 최초로 수상이라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2024년 5월부터 공식적으로 운영을 시작한 서울시교육청의 메타쌤은 ▲혼합수업을 위한 화상서비스와 협력활동, ▲장애이해활동, ▲제4창의예술교육센터 등의 콘텐츠를 탑재하여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높이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2024년 7월에는 메타쌤에서 선생님들이 에듀테크 도구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행사를 개최하여, 교원 등 약 2,200명이 새로운 형태의 에듀테크 박람회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메타쌤을 활용
경기도교육청은 10월 25일 '2024 지역교육협력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31개 지역별 공유학교 사례를 통해 경기공유학교 성과를 진단하고 향후 공유학교의 활성화 및 정착을 위한 정책적 토론도 진행하였다. 이날 행사는 1부 정책토론에서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한 지역교육협력 플랫폼의 확장(안산시청 이민근 시장) ▲공유재로서의 공유학교의 역할과 플랫폼 기능 (아주대 의과대학 김신권 교수) ▲학교 교육을 보완하는 경기공유학교의 역할(금신초 최정하 교장) ▲교육2섹터로서의 경기공유학교 운영과 교육지원청의 역할(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 진영하 장학사) ▲나의 공유학교, 그리고 나의 미래(수성고 오준영 학생) 이상 5명의 발제와 토론이 이루어졌다. 2부 순서에서는 ▲공간 ▲사람 ▲콘텐츠 ▲협력 ▲늘봄 5가지 주제와 10개 소주제로 나누어 작 지역 공유학교의 다양한 지역별 사례를 발표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 등 현장중심의 활발한 토론이 이루어졌다. 경기공유학교는 지역의 교육 자원과 전문가를 활용해 학교 밖에서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지역교육협력 플랫폼으로서 2023년 8월 경기도 내 6개 교육지원청의 시범운영을 통해 모델을 개발하였고, 2024년부터 본격 도입하여 경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지난 25일 (가칭)경기안산국제학교 교육과정 개발 지원단 협의회를 개최해 다문화학생 지원을 위한 교육과정 모델을 협의했다. 도교육청은 다문화학생이 급증하는 가운데 교육 현장에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제시를 위해 (가칭)경기안산국제학교를 설립하려고 준비 중이다. 지원단 협의회에서는 다문화교육 전문성이 있는 현장 교원 70명이 참석해 다문화학생 지원을 위한 교육과정 방법과 형태를 기존 학교와 연계해 ▲이중언어교육 ▲소질과 적성 개발 접근 ▲교육과정 자율성 보장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가칭)경기안산국제학교는 안산에 설립되는 공립형 대안학교로 다문화학생의 강점을 신장하고 다문화학생 밀집학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정 다양화를 시도한다. 또 미래 사회의 글로벌 인재로 키우기 위해 다문화학생 밀집학교의 거점학교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가칭)경기안산국제학교는 공립형대안학교로 학비는 무상이며, 입학을 희망하는 모든 학생(다문화학생 70%, 일반학생 30%)이 지원할 수 있고 추첨제로 선발된다. 전교생의 20%는 사회배려대상자로 선발할 계획이다. 이 학교의 교육과정은 지역 기반의 교육과정을 적용한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 될 듯하다.
강원교육청 산하 고성교육지원청(교육장 홍성봉)은 2022 개정 교육과정 현장 안착 및 학교자율시간 운영 이해와 초등학교의 기초학력 강화를 위하여 관내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연수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학교 자율시간 관련 연수는 총 2회로 계획해 운영 중이며, 10월 14일에 실시된 1차 연수는 2025년 3~4학년부터 적용되는 학교자율시간의 설계·운영 및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11월 8일 예정된 2차 연수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학교 교육과정 설계·운영 및 학교자율시간 편성·운영의 실제를 다룰 예정이다. 학력 향상 지원을 위해 지난 6월 1일 1회차 기초학력 교사 역량 강화 연수를 시작으로, 10월 25일에는 2회차 연수를 실시한다. 이외에도 학력 향상 교사 역량 강화 연수, 학생 대상 찾아가는 학력 향상 프로그램 등도 함께 운영 중이다. 홍성봉 교육장은 “2022 개정 교육과정 연수를 통해 교사들의 교육과정 이해도를 높이고 현장 적용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라며,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다양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