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백신접종 여부의 결정권자는 학부모다... 학생을 끝까지 책임지지 못한 정부는 강요하지 말아야 김부겸 국무총리가 13일부터 학교 방문 백신 접종을 지시한 것과 관련, 교직단체들이 강요할 사안이 아니다며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나섰다. 서울교총(김성일 회장)은 10일 학교방문 백신접종을 강제하지 말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청소년 백신 접종률이 낮은 것은 백신 접종의 장소나 편리성만의 문제가 아니라 백신 안전성과 국가 책임에 대한 믿음 부족에 원인이 있다”면서 학교방문 백신 접종을 강요하지 말라고 비판했다. 서울교총은 “정부가 백신 접종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책임 있는 태도를 먼저 보여주는 것이 우선”이라고 하면서 “백신 접종에 대한 학교 방문 접종을 전면 재검토하고 보다 섬세한 정책 수립을 통해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충분한 믿음 속에서 백신 접종이 진행할 것”을 주장헸다. 서울교총은 “수요조사를 통해 학교 접종을 희망하는 학교의 경우 과연 학교 접종을 안전하게 진행할 보건 인력은 충분히 지원되는 것인지, 부작용에 대한 신속한 대응책은 마련된 것인지? 백신 접종과 관련해 문제가 생겼다면 그 책임 소재는 교육 당국에서 질 것인지 등을 명확히 해야 한다
교육부가 '국·영·수·사·과' 등 공통과목 수업시간 축소 및 '민주시민교육' 강화 등을 골자로 하는 2025년 고교 학점제를 전면 도입한다고 발표하자 일선 교사들이 "학교 정치화"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지난 24일 세종시 해밀초등학교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을 발표했다. 교육부가 발표한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은 현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2025년부터 고교 학점제를 전면 도입한다는 것이다. 선택과목을 늘리는 대신 고등학생들의 절대 학습량과 기초과목 수업시간은 대폭 줄어든다. 교과 개편에 따라 2025년부터는 고교 3년 총 수업시간이 2890시간에서 2560시간으로 330시간 감축된다. 교육부는 필수과목 외에 다양한 과목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는 명분을 든다. 그러나 이로 인해 '경제'가 사회 일반선택과목에서 제외되고 '진로선택과목'으로 배치된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수능이 공통과목과 일반선택과목에서 출제되는 점을 고려하면, 경제는 결국 수능 과목에서 빠지게 되는 셈이다. 교육부는 생태·민주시민교육을 모든 교과와 연계해 관련 교과 내용을 재편하고, 노동인권교육을 강화한다
교육부의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을 반대하는 학부모들의 목소리가 전국적으로 번지는 가운데 13일에는 대전시교육청 앞에서도 학부모 반대집회가 열려 거센 반대의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대전시 용산초등학교의 경우, 용산지구 호반써밋그랜드파크 입주에 따른 학생 수요예측에 실패한 대전시교육청이 새로 조성해야 할 학교 용지를 삭제한 채 기존 용산초등학교에 모듈러 교실을 설치해서 해결하겠다는 계획을 일방적으로 추진하면서 학부모들의 반대에 직면했다. 현재 용산초등학교 학생은 400여명에 불과한데 호반써밋 입주가 시작되면 3배수인 1천여명으로 학생수가 늘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시교육청으로서는 당장 학교 용지 확보가 어렵고 호반써밋 입주예정자들이 다닐 학교는 없는 상태에서 모듈러 교실 설치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뜻밖의 학부모 반대 사태가 격렬해지자 시교육청 관계자는 "기존의 용산초 학부모들과 호반써밋 입주예정자들의 입장을 모두 고려하여 각종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으나 학교 용지가 확보되지 않는 이상 학부모들의 요구수준에 맞추어 해결할 방안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대전 용산초의 경우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과는 거리가 있으나 전국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그리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강태중)은 지난 11월 18일(목) 전국적으로 실시된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채점 결과를 12월 10일(금)에 수험생에게 통지하며, 개인별 성적통지표는 접수한 곳(재학 중인 학교, 시험 지구 교육청, 출신 학교 등)을 통하여 수험생에게 교부한다. ‘성적통지표 교부 및 온라인 성적증명서 발급’에 대한 안내문을 수능 홈페이지(www.suneung.re.kr)에 게시하였다([붙임] 참조). 아울러 수험생 진학 지도를 위해「영역/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 및 도수분포」자료도 공개한다. 2022학년도 수능에 응시한 수험생은 448,138명으로 재학생은 318,693명, 졸업생과 검정고시 등은 129,445명이었다. 영역별 응시자 수는 국어 영역 446,580명, 수학 영역 429,799명, 영어 영역 445,562명, 한국사 영역 448,138명, 사회·과학탐구 영역 432,992명, 직업탐구 영역 4,649명, 제2외국어/한문 영역 33,243명이었다. 사회·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중 사회탐구만 응시한 수험생은 215,482명, 과학탐구만 응시한 수험생은 206,550명, 두 영역을 조합해 응시한 수험생은 10,960명이었으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개 여론조사기관이 합동으로 조사해 [11월]25일 이 같은 내용의 이번 주 전국지표조사(NBS) 결과를 발표했다... 내년 대선에 대한 인식과 관련해서는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위해 여당 후보에게 투표해야 한다’는 국정안정론 응답이 39%, ‘국정운영에 대한 심판을 위해 야당 후보에게 투표해야 한다’는 정권심판론 응답이 48%로 나타났다. 엊그제 언론에 보도된 이른바 ‘대권 후보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의 일부다. 나타난 결과를 시비하자는 건 아닌 만큼, 숫자는 일단 접어두기로 한다. 대신에,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위해 여당 후보에게 투표해야 한다’는 설문에 주목해 보자. ‘정권 연장’을 표현한 게 분명할진대... ‘국정안정론’이라고? 그렇다면... 여기서 ‘안정적 국정운영’이란, 필시 이런 상황의 연장을 의미하는 건 아닌지... 여러 신문에서 언급한 내용을 참고·종합해봤다. 흔히 ‘내로남불’로 대표되는 위선(僞善)과 정체불명의 오만(傲慢)에서 비롯된 ‘일방적 자랑질’, 약탈(掠奪)이라고밖에는 달리 말할 수 없는 ‘숟가락 얹기’가 수년간 계속되어 오고 있다. 내편 네편 갈라치기, 나라 곳간 털기와 빚 늘리
“김정은은 비핵화(非核化) 의지가 없다. 결코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수년 전부터 이 나라에서 널리 전파된 대표적 ‘가짜뉴스’일 것이다. 특히, 문주주의자(文主主義者)들과 평화주의자(平和主義者)들 사이에서는 분명하고 확실하게 그렇다. 더구나 이런 유(類)의 기사나 논평 등은 ‘가짜뉴스’ 이전에 우선 괘씸죄에 걸리고도 남는다. ‘김정은’이 뭔가 ‘김정은’이... 동네 돼지새끼를 부르는 것도 아니고. ‘김정은 국무위원장님’까지는 안 되더라도 ‘국무위원장’이라고는 적어줘야 하는 것 아닌가. 그리고... 그 ‘위원장님’을 ‘직접 알현(謁見)’하신 높으신 양반네들이 한결같이 “비핵화(非核化) 의지를 갖고 계시다”고 수차에 걸쳐 강조했질 않는가 말이다. 그런데도 양키나라 반북(反北)·반평화(反平和) 호전광(好戰狂)들이 흘리는 음모론을 이 나라 기레기들과 유튜버들이 검증 없이 널리 퍼뜨려왔다. 그 ‘위원장님’의 말씀과 의중을 직접 듣지도, 보지도, 취재하지도 않은 채... 그렇다면, 북녘에 관한 정확한 ‘진짜뉴스’는 어떠해야 하는가. 짐작컨대, 다음과 같은 기조(基調)하에서 제작·배포되어야만 제대로이지 싶다. “지상낙원(地上樂園)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김정
기회평등학부모연대는 서울시 등록 비영리 민간단체이며 기획재정부에 의한 지정기부금 단체입니다. [기부금유형 : 지정기부금, 코드번호: 40] 후원자 여러분께 2021년 연말정산을 위한 기부금 영수증 발급에 관하여 아래와 같이 안내합니다. - 아 래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첨부파일)에 이용방법 및 수신방법을 작성하신 후 12월 31일(도착기준)까지 아래의 방법 중 하나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① e-mail: kmseon1990@naver.com ② 팩스: 0504-143-0859 ③ 문자 또는 카톡(사진촬영 또는 문서파일) : 담당자 전화번호는 개별문자로 보내드립니다. 발급된 영수증은 1월 초에 발송할 예정이며, 국세청 홈텍스 간편서비스 이용을 선택하신 경우 2022년 1월 15일부터 확인이 가능합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우리 단체를 후원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교육시민단체로서 더욱 노력해 나갈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첨부파일(동의서 양식) 참조 요망
12월 1일(수) 저녁 9시에 '바른사회 Meet 콘서트' 일흔 일곱 번째 시간으로 '소위 정보통신강국이 외면하고 있는 사실 몇 가지'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천표 (서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바른사회 Meet콘서트에서 '소위 정보통신강국이 외면하고 있는 사실 몇 가지' 발표에서 우리나라는 정보통신 소비강국일 수는 있으나 생산 강국이라고는 할 수 없다며, 우리가 만든 앱, 시스템, 소프트웨어 중 세계적으로 쓰이는 것이 별로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IT강국이라는 환상이 아닌 진정으로 정보통신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우리의 실상을 제대로 파악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AI에 대한 이해 부족과 마구된 사용, 플랫폼의 편파적 이해,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편향된 태도, 새로운 인프라에 대한 이해와 활용 부족, 블록체인 및 NFT에 대한 편파적 이해와 자의적 해석 등 5가지 항목을 정보통신 1등인 미국과 비교해 그 수준을 가늠해 보고 무엇이 문제인지 재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개인사생활보호에 대해서는 CCTV, AICCTV, 자동차 불랙박스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개인정보 침해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며 전문가 영역인 data labeling 영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