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별 학교 규모를 최적화하는 ‘경기형 적정규모학교 최적화 모형(5C)’을 다섯 가지로 발표했다. 다섯 가지 모형(5C)은 ▲거점형(Center) ▲개편형(Create) ▲통합형(Combine) ▲복합형(Complex) ▲확장형(Connect)의 학교 유형을 의미한다. 도교육청은 이번 모형에 따른 적정규모학교 육성을 강화해 학생 수 감소로 인한 교육 격차 해소와 소규모 학교의 교육환경 개선에 힘쓸 계획이다. 아울러 도교육청은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 다양한 프로그램 선택지 부족, 학생 사회성 발달 등 원도심 지역과 농산어촌을 중심으로 증가하는 소규모 학교 문제 해결에도 나선다. 우선 지역 내 또는 인접 지역 간 소규모 학교를 통합하고 ▲거점학교 ▲공동학군 ▲기숙사학교 ▲복합시설 유입 ▲특목고·대안학교·온라인학교 설립 등 지역 수요를 반영해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도교육청은 지난 9월 적정규모학교 육성 의결기준을 ‘과반수 학부모의 응답’과 ‘응답 학부모의 과반수 동의’로 정하고, 10월에는 1기 신도시에 위치한 청솔중학교(성남)를 적정규모학교 육성 지원교로 선정한 바 있다. 이번 정책 추진으로
서울 38개 사립초등학교 2025학년도 신입생 모집이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 통합 전산 사이트에서 동시에 이루어진다. 원서 접수는 13일 수요일까지 진학어플라이* 사이트를 통해 마감되었으며, 신입생 입학 추첨은 각 학교별로 하되 18일 월요일 오전 10시에 동시에 이루어진다. 자세한 추첨 방법은 당해 학교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당초 서울 사립초등학교 입학 전형은 당해 학교 별로 이루어지고 지원 가능한 학교 수에 제한이 없었다. 그러나 서울특별시교육청은 2024학년도부터 신입생 1명당 최대 3개 학교까지만 지원하게 하여 사립초등학교의 경쟁 과열을 방지한 바 있다. 서울시 내 사립초등학교는 각 학교마다 신입생 입학 설명회를 통해 신입생 모집을 적극 홍보하고, 중복 지원을 방지하기 위해 서울시교육청이 전국 최초로 개발한 통합 전산 사이트 이용을 안내하고 있다.
2025년 QS 글로벌 대학 10개 대학은 1위 MIT, 2위 왕립런던대, 3위 옥스포드대, 4위 하버드대, 5위 켐브릿지대, 6위 스탠포드대, 8위 국립싱가폴대, 9위 런던대(UCL), 10위 칼텍(캘리포니아공대)로 선정되었다. 국내 대학은 서울대(국립) 31위, KAIST(국립) 53위 연세대(사립) 56위, 고려대(사립) 67위, 포항공대(사립) 98위 등 5개 대학이 세계 100대 명문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 100위~ 500위권에는 성균관대(사립) 123위, 한양대(사립) 152위, 울산과기대(국립) 280위, 대구경북과기대(국립) 326위, 경희대(사립) 328위, 세종대(사립) 396위, 중앙대(사립) 489위 등이 선정되었다. 501~1000위 권에는 이화여대(사립) 511위, 경북대(국립) 516위, 부산대(국립) 524위, 서강대(사립) 576위, 아주대(사립)와 인하대(사립)가 631위~640위, 한국외대(사립) 651~660위, 전북대(국립) 680~690위, 동국대(사립) 701~730위, 건국대(사립) 721~730위, 카톨릭대(사립)와 울산대(사립) 801~850위, 전남대(국립)와 충남대(국립) 851~900위, 영남대(사립)가 9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10월 31일(목), ‘2024년 10월 대학 정보 공시 분석 결과’를 발표에서 2023년 대학 강의 공개 강좌 수는 2,162개로 2022년(1,850개)보다 16.9%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은 399개로 전년(398개)보다 0.3%, 사립대학은 1,763개로 전년(1,452개)보다 21.4% 증가했으며, 국공립대학의 공개강좌 수는 사립대학보다 낮게 나타났다. 수도권대학은 1,032개로 전년(817개)보다 26.3%, 비수도권대학은 1,130개로 전년(1,033개)보다 9.4% 증가했다. 공개강좌는 교수의 강의에 대한 자신감과 교육콘텐츠 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정부의 예산을 100% 지원받고 교육부의 추가 지원을 사립대학보다 훨씬 더 받고 있는 국공립대학이 사립대학보다 낮게 나타난 것은 국공립대학 교수들이 사립대학 교수보다 강의에 자신감이 없거나 또는 강의 내용에 대해 더 폐쇄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2023년 학생 1인당 도서관 자료 구입비는 143,505원으로 2022년(135,876원)보다 5.6%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은 186,086원으로 전년(176,737원)보다 5.3%, 사립대학은 129,892원으로 전년(122,814원
11월 7일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의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에서 직업계고 졸업자 63,005명 중 취업자는 16,588명, 진학자 30,216명, 입대자 1,716명, 제외인정자는 1,059명이며, 취업률은 55.3%, 진학률은 48.0%로 전년 대비 취업률은 0.4%p 감소, 진학률은 1.0%p 증가하였다. 학교 유형별 취업률은 마이스터고가 72.6%로 직업계고 중 가장 높았으며, 특성화고 52.3%, 일반고 직업반 43.9%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북(69.5%), 대구(65.3%), 대전(61.1%), 경남(59.5%), 세종(59.4%), 충남(58.2%), 강원(56.2%), 광주(55.9%) 8개 시도가 전체 취업률 평균(55.3%)보다 높았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1천 명 이상 23.5%, 300~1천 명 미만 11.0%, 30~300명 미만 34.5%, 5~30명 미만 26.1%, 5명 미만 4.8%로 30~300명 미만 기업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특히, 300명 이상 기업에 취업한 비중은 34.5%로 3년 연속 상승하고 있다. 건강보험 또는 고용보험 가입자(2023.4.1.기준 19,401명)의 1차 유지취
설동호 교육감 ⓒ 대전광역시교육청 보수 성향의 교육감으로서 3선에 성공해 지난 10년간 대전 교육의 방향을 이끌어 온 설동호 대전교육감이, 교육부가 주관한 '2024년 시·도교육청 평가'에서 작년에 이어 최우수 등급을 획득하며 대전 교육의 우수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교육부는 매년 17개 시·도교육청을 대상으로 국가시책 추진 실적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2024년 평가는 ▲국가교육 돌봄 책임 강화 ▲교육의 디지털 전환 ▲모두를 위한 맞춤형 교육지원 ▲안전하고 건강한 교육환경 조성 등 4개 영역, 18개 지표를 대상으로 통과 비율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며, 모든 지표를 통과해야만 최우수 등급을 받을 수 있다. 대전교육청은 18개 지표 모두 평가 기준을 통과(PASS)하여 최우수 등급을 받는 성과를 이루었으며, 또한 ‘사교육 경감 추진 노력 및 성과’분야 시지역 우수사례로 선정되었으며, 사교육 경감을 위해 대전교육 여건을 분석하여 방과후학교 및 돌봄교실을 활성화하고,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 프로그램 확대, 교과·진로중심 맞춤형 교육 실시 등의 다양한 성과를 인정받은 결과다. 교육부가 발표한 2023년 시·도별 사교육 참여율에 따르면, 대전의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종태 의원이 주최하고 서울특별시의회가 주관한 "OECD 교육부문 디지털화 정책 전망에 비춘 서울교육의 디지털 전환 현황 및 과제" 토론회()가 2024년 11월 4일 서울특별시의회 의원회관에서 개최되었다. 이 토론회는 급변하는 디지털 시대에 대응하는 서울 교육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미래 방향성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김정욱 기회평등학부모연대 대표가 사회를 맡은 이번 토론회는 전문적인 교육 현장의 문제를 주제로 삼았다. 개회사에서 김 대표는 이 토론회의 목적에 대해 "시의회가 서울시교육청의 예산, 제도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정책의 본령에 대한 제대로 된 의정활동을 해나가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디지털 교과서 문제만을 다루기 위한 것이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이미 이루어지고 있는 전반적인 디지털화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환영사] 이종태 의원은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서울 교육이 디지털 환경을 혁신하고 선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디지털 전환에 따른 교육 기술 격차와 사각지대 문제 해결을 위해 모든 이해당사자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격려사] 이규석 고문
11월 4일(월) 15:30~18:00에 서울특별시의회 의원회관 제2대회의실(2층)에서 서울특별시의회 주최로 , “OECD 교육부문 디지털화 정책 전망에 비춘 서울교육의 디지털 전환 현황 및 과제”는 주제로 정책 토론회가 열린다. 이번 토론회는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종태 의원이 주관하며, 자유교육미래포럼, 서울사립학교장회 서울교육연구원, 기회평등학부모연대가 후원하고 초·중등교육계에 관심있는 학부모 및 일반시민이나 단체들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 이번 토론회는 1부, 2부로 나누어지며, 1부에서는 심임섭 (복잡성교육학회장)이 “OECD 교육부문 디지털화 정책 전망”, 류장경 (서울시특별시교육청 디지털혁신미래교육과장)이 “서울교육의 디지털 전환 현황 및 과제”로 주제발표를 하며, 2부에서는 이종태 의원(서울시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의 사회로 김태연 교사 (서울성남중학교), 최창숙 교감 (예일여자고등학교), 김진성 기자 (인터넷신문 교육앤시민), 박준언 명예교수 (숭실대학교 영문학) 등 4명이 토론을 하며, 참가자 모두 자유 토론에 참가할 수 있다. #서울시의회 #정근식교육감 #서울특별시교육청 #심임섭 #디지탈 #류장경 #이종태 #김태연 #최창숙 #김진성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