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간 국내 기업의 해외직접 투자 신고 건수는 2014년 8,204건, 2015년 8,898건, 2016년 9,799건 2017년는 11,470건, 2018년은 12,707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4년을 100으로 볼 때, 2015년에는 108로 ▲8% 증가했으나, 2016년은 119로 ▲19% 증가 , 2017년은 140로 ▲40% 증가, 2018년은 ▲155로 2014년대비 ▲55%나 폭증하고 있다.
해외 직접투자 법인 수는 2014년에 2,811개 기업이, 2015년에는 2,901개 기업이 , 2016년에는 3,084개 기업이, 2017년에는 3,411개 기업이 2018년에는 3,540개 기업이 국내 투자를 버리고 해외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4년을 100으로 볼 때, 2015년에는 103로 △3% 증가에 그쳤으나, 2016년은 110로 ▲10% 증가, 2017년은 121로 ▲21% 증가, 2018년은 126으로 2014년대비 ▲26% 폭증세를 보이고 있었다.
해외 직접투자 금액으로 볼 때, 실 투자금액은 2014년 26,998,787천 달러이던 것이, 2015년에는 27,180,110천달러, 2016년은 34,986,221 천달러, 2017년에는 43,696,348 천달러, 2018년에는 49,781,594 천달러로 지속적으로 국내기업의 해외 투자금이 폭증하였다.
2014년을 100으로 볼 때, 2015년에는 101로 증가세가 미약했으나, 2016년에는 130으로 ▲30%가 폭증하였고, 2017년에는 162로 ▲62% 폭증, 2018년에는 184로 2014년 대비 물경 ▲84% 폭증하였다.
기업경영 분석전문가에 의하면, 이러한 국내 기업의 행외 탈출 폭증은 정부의 반기업 정책과 국내경제의 불안 등이 핵심 요인이며, 더 이상 국내에 투자할 의욕마져 꺽는 것으로 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최저임금 폭증 ▲적폐청산이라는 비도덕적 정책으로 기업 총수와 임원의 연이은 형사 처벌에 의한 투자의지 상실 ▲비정규 직원의 정규직 직원화의 강제 ▲주 52시간 근무제 강제 및 위반기업의 형사처벌 ▲저인망식 놓여있는 기업규제를 위한 법률, 시행령, 고시, 조례 ▲정부정책의 오락가락으로 인한 투자 위험 ▲소득주도 성장이라는 명목으로 인건비 과다 지출 ▲노동시장의 비유연성 ▲경제고위관료들의 비시장성 의식 등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기업 해외 투자 폭증은 일본 대기업의 일본 탈출 사례를 감안할 때 ▲기업의 인원 감축을 동반한 대규모 구조조정 ▲청년 실업율이 증가 ▲경기침체로 인한 소상공인몰락 ▲법인세 인상 및 준조세 폭증 등 국내 경기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