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 건국대 연합 트루스포럼(이하 '트루스포럼')은 1945년 8월15일 해방과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건국관계와 선교사들의 일본 식민지 시절미국 선교사들의 교육사업, 이승만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등에 대한 역사적 사료를 기초로 카드 뉴스를 제작·배포하여 화제가 되고 있다. 트루스포럼은 현재 우리나라 사회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가짜뉴스' 이슈들에 대해 공신력있고 객관적인 자료를 정리하고 이슈에 대한 진실을 밝히기 위해 만든 세종대 학생과 건국대 학생들의연합단체다. 아래 일러스트는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건국과 역사적 사료를 정리하여 만든 뉴스 전문이다. 트루스포럼 관계자에 따르면 사회적으로 논란이 된이슈에 대해지속적으로 제작하여발표하겠다고 했다. 출처: 세종대 건국대 연합 트루스포럼(www.facebook.com/sjukku.truth.forum/)
지난 19일 호사카 유지 교수(세종대 대양휴머니티칼리지)는 '세계 속 한국사 바로 알리기의 중요성과 당위성' 주제로 인천광역시교육청에서 강연을 했다. 오후 4시부터 진행된 이 강연은 인천광역시교육청 대회의실에서 진행됐고, 참석인원은 약 300명의 인원이었으며, 대부분 청소년이었다. 유지 교수는 일본에서 태어나 1988년에 한국에 왔으며, 2003년에 한국으로 귀화했지만 여전히 일본 이름으로 활동 중이다. 귀화 이유는 일본 이름으로 활동을 하는 것이 자신의 일본 규탄 활동에 더욱 의미를 더해주기 때문이라 했다. 유지 교수는 현재 세종대학교 독도종합연구소 소장 일과 함께 각종 방송과 강연에 초청되고 있으며, 유행처럼 퍼지고 있는 반일 운동과 함께 호사카 유지 교수는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이 날 강연 역시도 참석자들의 큰 박수로 시작되었다. 호사카 유지 교수는 '대한민국의 기원'에 대해 약 2시간 가량 강연했다. 발음이 약간은 서툴지만 결코 틀리지 않는 한국어로 강연을 진행했다. 유지 교수는 "일본을 알아야 한다"는 말로 강연을 시작하면서, "일본을 잘 몰라서 당했던 임진왜란, 다시는 안 당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은 한국을 굉장히 필요로 한다. 하
14일 전교조(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는 광복절을 맞이하여 「광복 74주년, 우리 안의 친일 잔재를 되돌아보아야 할 때」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전교조 서울지부는 "학교 내 친일 잔재 청산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본다"며 "특히 젊은 세대들이 우리의 역사를 올바로 인식하고 스스로 사회 현안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가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2월 26일, 전교조 서울지부는 서울 시내 113개교의 교가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인물이 작사 혹은 작곡한 것임을 발표했다. 이에 전교조 서울지부는 서울 지역의 학교들에서 하반기 학교 내 친일 잔재에 대한 ‘되돌아보기 운동’을 하기를 제안했다.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인물이 작곡한 교가를 교체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기를 바라며 서울시교육청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구했다. 동시에 전교조 서울지부는 "주입과 교화가 아닌 학생 스스로의 판단을 존중하는 형태의 학생 참여형 수업을 제안한다"고 발표했다. 이의 기초로서 '보이텔스바흐 협약', 즉 학교에서 정치적 상황을 학생들에게 이해시켜서 균형잡힌 정치적인 행위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형태를 제안했다. 하지만 전교조 서울지부는 이미 '학교 내 친일 잔재
김포시(시장 정하영)와 김포교육지원청(교육장 김정덕)은 김포교육혁신지구 사업으로 『김포 청소년 역사·문화 탐구단』 프로그램을 지난 7월 22일 부터 31일까지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김포교육혁신지구 사업 중에서도 가장 큰 규모이며 김포학생 대표자 119명과 인솔자 29명이 참가했다. 탐구단 청소년들은 동북삼성팀과 상해팀으로 나눠 항일운동 유적지를 탐방했다. 동북삼성팀은 안중근 의사의 의거 현장과 백두산, 봉오동 전투 장소 등 이며, 상해팀은 임시정부의 이동 경로와 임시정부의 거처 및 항일운동 유적지다. 그러나 탐구단 청소년들은 독립운동가들의 정신을 이어간다는 주장으로 각 탐방지에서 일본 불매운동 카드를 들었다. 카드섹션에 참가한 솔터고 학생은 "우리가 바르게 성장해 앞으로는 어떤 나라도 대한민국을 위협하거나 겁박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포 청소년 역사·문화 탐구단』은 유적지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김포 시민들과 나누기 위해 홍보물 브로셔, 다큐멘터리 등을 제작할 예정이다. 이어 경기도 김포교육지원청은 "이 역사문화 탐방 사업이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매년 새로운 인재를 만들고 배움을 나누며 함께 성장하는 학생주도형 역사 인식 프로젝트의 새로운 모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이재정)은 지난 7일부터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을 특별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운영 로드맵은 총 3단계로 1~3월은 △'100주년 기념사업 의제 설정', △'도교육청 주요 사업 자문'으로 1단계, 4~10월은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 및 진단'으로 2단계, 11~12월은 △'특위활동 평가 및 지속 과업 선정'으로 3단계다. 이를 추진하기 위한 전략은 총 4가지다. 첫 번째 전략은 「근현대 역사 재조명」으로, 학생주도 근현대사 구술 프로젝트, 근현대 역사배움 나들이, 근현대 여성사 발굴과 재해석, 생활 속 친일 잔재 청산 프로젝트, 근현대 학교사 아카이브 구축 등이다. 두 번째 전략은 「평화 관점의 역사 교육」으로, 학생 주도 평화계기 교육자료 보급, 집중기억 기념주간 설정, 사제동행 역사탐구 활동, 역사수업 지원자료(초등) 보급 등이다. 이 전략은 다음(Daum) 포털사이트와 함께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세 번째 전략은 「역사적 실천」으로, 독립운동 유적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발굴, 100주년 기념 뮤지컬 관람·문화 체험, 경기도 항일독립운동 유적안내판 설치, 동학농민혁명 현장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