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 1942. 2. 5. 매일신보) 요즘 일제강점기 시대의 징용에 대해 언론과 정치계 그리고 SNS에 핫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그런데 SNS 매체에 글을 게재한 김** 씨에 의하면, 징용이 강제징용이 아니라는 글을 게재해 그 진위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위 사진은 1942년 2월 5일에 매일신보에 기사화 되었다고 주장한다, 아래는 당시 기사를 현대 한글로 재 편집한 내용이다. 【全南支社發】 전남 광산군 송정읍 도호리 사는 金田昇丸(20)군은 작년 11월에 지원병 모집에 실격된 것을 항상 고통으로 느끼고 있던 중 금번에 조선에서도 국민징용령이 실시되어 조선 청년들에 대하여서도 산업전사로써 소집 응소되는 것을 기뻐하여 김전군은 감격 끝에 누구보다도 먼저 국민징용에 소집하여주기를 血書 지원을 하고 멸사봉공을 하겠다는 탄원을 하였는데 그를 받은 安田 전남도 사회과장은 기뻐하여 산업전사 채용에 제1후보자로 예정하고 있다. ※ 위 글은 본보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교원조합(위원장 박상윤, 사무총장 정근형)은 8월 22일 최교진 교육부장관이 , '음주 운전 경력에 비속어와 음모론 남발 등의 이유로 사퇴해야 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오늘 발표된 성명서 전부는 아래와 같아 성명서 전문 교육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짓는 국가의 백년지대계이다. 따라서 교육부 장관은 어느 누구보다 높은 도덕성과 균형 잡힌 가치관, 그리고 학생과 교원 모두가 존경할 수 있는 교육적 본보기로서의 품성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최근 교육부 장관 후보로 언급되고 있는 최교진 후보의 행적과 발언은 그러한 조건과는 분명히 거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우리 대한민국교원조합은 최교진후보가 교육부 수장으로서 자격 미달임을 다음과 같이 밝히는 바이다. 1. 가치관의 편향성과 책임 있는 리더십의 결여 교육부 장관은 국민 모두를 아우르는 포용적이고 중립적인 태도를 지녀야 한다. 그러나 최교진 씨는 과거 사회적 갈등을 조장할 수 있는 발언과 왜곡된 정치적 주장, 음모론적 내용을 공유함으로써 국민적 분열을 초래하였다. 이는 교육부 수장으로서 요구되는 균형 있는 시각과 책임 있는 리더십이 결여되어 있음을 보여 준다. 2. 도덕적 책임성의 문제 과거 음
17일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국방부는 진중문고 도서 중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6·25전쟁 이야기(할아버지…)』를 22일까지 회수·폐기한 뒤 보고하라는 공문을 8일 내려보냈다. 국방부는 “장병 교양증진 및 정신전력 강화에 부적합한 내용 일부 포함”을 폐기사유로 설명했다. (자료 : 유용원 의원실) 『할아버지...』는 육군대학 전쟁사 교관과 육군군사연구소 한국전쟁연구과장을 지낸 장삼열 한미안보연구회 사무총장이 썼다. 할아버지가 손주에게 얘기해 주는 형식으로 개전부터 정전까지의 6·25전쟁 역사를 알려주는 교양서적이다. 지난해 진중문고로 선정돼 중대급까지 9948권이 배포됐다. 진중문고(陣中文庫)는 국방부가 일선 부대 도서관이나 생활관에 장병 교육용으로 보내는 책으로 분야별 베스트셀러와 기관 추천 도서 명단을 두고 외부 전문가로 꾸려진 위원회가 선정한다. (자료: 유용언 의원실 - 부적절하다고 지적한 내용.) 유 의원실이 국방부에 질의한 결과 ①농지개혁을 일방적으로 미화하고 ②이승만 대통령이 1950년 8월 14일 사흘간 구국 기도회를 연 뒤 비가 그쳐 융단폭격 작전에 성공했다는 구절이 『할아버지...』의 ‘부적합 내용’이라는 것이다. ▶농지개혁에 대해
(자료원 : KBS 뉴스) 강*복(1911~2001) 여사는 서울대 총장과 국무총리를 지낸 이수성(李壽成:1939~)님의 모친이다. 강 여사는 울산 갑부집의 1남2녀 중 맏딸로 태어나 경북고녀(경북여고 전신)와 일본여대를 나왔다. 당시로서는 흔치 않은 엘리트 여성이었다. 24세 때 경기여고에서 교생실습을 하던 중 오빠(강*택 전 농림부 차관, 납북)의 중매로 동경제대 법학과를 나온 이*영 변호사와 결혼한다. 이 변호사는 일제 치하에서 판사로 재직하면서도 법정에서 꼭 한복 두루마기에 고무신을 신은 채 재판을 했고, 1943년엔 창씨 개명을 거부하고 법복을 벗었을 정도로 강직했다. 강*복 여사의 일생에는 이 땅 보통 어머니들의 인고의 삶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강 여사는 신교육을 받은 엘리트임에도 불구하고 결혼과 함께 교사의 꿈을 접고 남편 뒷바라지에 전념했다. 화장은 커녕 파마 한 번 하지 않았고 늘 쪽진 머리에 한복차림이었다. 그러던 중 발발한 6ㆍ25전쟁은 그녀의 삶을 바꿔놓았다. 남편인 이 변호사가 납북된 것이다. 이 변호사는 북한 정치보위부원들에게 끌려가면서 당시 중학생이던 큰아들 이수성에게 “어머니를 모시고 시골에 가서 살라” 는 한마디를 남겼다. 졸